실거래가 vs 호가!
차이를 제대로 아는 법!
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
부동산 정보를 보다 보면 이런 표현 자주 보셨을 거예요.
“이 단지 최근 실거래가 7억인데, 지금 호가는 8억이래요.”
그런데 여기서 질문.
이 ‘7억’과 ‘8억’의 차이는 단순한 가격 차이일까요?
아니죠.
하나는 “실제 거래된 확정 가격”, 다른 하나는 “아직 거래되지 않은 제시 가격”입니다.
부동산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이 둘의 차이를 읽을 줄 알아야
가격이 오르는 중인지, 멈춘 건지, 혹은 하락 중인지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!
1. 실거래가란 무엇인가?
📍‘실거래가’는 국토교통부에 신고된 실제 거래 금액을 의미합니다.
즉, 매수자와 매도자가 계약을 체결하고 세금 신고까지 완료된 확정된 금액이에요.
✅ 실거래가의 특징
✔️ 실제 거래가 완료된 가격
✔️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확인 가능
✔️ 법적 근거가 있는 공식 데이터
✔️ 세금 계산 및 대출 심사 기준에 사용
💡 TIP: 실거래가는 통상 계약일 기준으로 30일 이내 신고되므로,
약 1개월의 시차가 발생합니다. 즉, ‘지난달의 시장 온도’라고 보면 됩니다.
📊 예시로 볼까요?
단지명 | 실거래일 | 실거래가 | 평형 |
A아파트 | 2025.09.28 | 7억 2,000만원 | 84㎡ |
B아파트 | 2025.09.30 | 6억 8,500만원 | 84㎡ |
이 데이터는 실제 거래가 있었던 가격이므로
‘확정된 시세 기준점’으로 활용됩니다.
2. 호가란 무엇인가?
📍‘호가’는 쉽게 말해 “팔고 싶은 사람(매도자)의 부르는 가격”이에요.
아직 거래가 체결된 게 아니라,
매도 의사만 반영된 희망가라고 보면 됩니다.
✅ 호가의 특징
✔️ 거래 전 매도자가 제시한 가격
✔️ 부동산 플랫폼(네이버부동산 등)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
✔️ 시장 심리 반영 지표
✔️ 조정 가능성이 높음 (협상 여지 有)
💡 호가는 “실거래가 + α”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예를 들어 최근 실거래가가 7억이라면, 매도자는 심리적으로 7억 5천 정도를 부릅니다.
3. 실거래가와 호가의 ‘핵심 차이’ 정리
구분 | 실거래가 | 호가 |
의미 | 실제 거래 완료 금액 | 매도 희망 가격 |
확정성 | 높음 (법적 신고 기준) | 낮음 (심리적 제시가) |
조회 경로 |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| 부동산 플랫폼 / 중개사 |
시점 | 과거 기준 (1개월 전 데이터) | 현재 기준 (실시간 시장가) |
활용 목적 | 세금·대출·통계 기준 | 시장 분위기·가격 협상 기준 |
변동성 | 낮음 | 높음 |
4. 두 데이터를 함께 읽는 법
① “호가 > 실거래가”
✔️ 상승 국면 초입 or 기대 심리 반영
매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부르기 시작하면,
시장에 “가격이 오를 거야”라는 신호가 깔린 상태입니다.
단, 거래가 실제로 따라붙지 않으면 ‘거품’으로 끝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
② “호가 ≈ 실거래가”
✔️ 안정기 or 횡보기
거래가 많지 않지만 매수·매도자 간 눈치 싸움이 지속되는 구간입니다.
이 시기에는 급매물이 관건이에요.
③ “호가 < 실거래가”
✔️ 하락 신호 or 매도심리 급증
급매물 중심의 거래가 이어지며 시장 조정이 본격화되는 시기입니다.
이때는 가격이 바닥을 향해가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5.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투자 판단하는 법
✅ 3개월 평균 실거래가 추세 확인하기
→ 단기 거래량이 늘고 있다면 ‘매수세 회복’ 신호.
✅ 단지별 최고가·최저가 범위 파악
→ 최고가와 최저가의 차이가 좁아지면 ‘시장 안정기’.
✅ 호가 변동률과 비교하기
→ 호가 상승률이 3% 이상인데 실거래가가 따라가지 않으면, ‘가짜 상승장’입니다.
📈 실거래가 상승 → 호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간이 진짜 회복장입니다.
6. 실무 팁: ‘실거래가 공개시스템’ 200% 활용법
✔️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접속
👉 https://rt.molit.go.kr
✔️ 시·군·구 → 단지명 입력
👉 거래일별 가격 및 층수, 평형 확인 가능
✔️ 그래프 모드로 변동 추세 확인
👉 특정 단지의 ‘최고가 갱신 여부’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.
✔️ 네이버 부동산 ‘호가’와 교차 비교
👉 실거래가와 호가의 차이가 10% 이상 벌어지면 시장 과열 or 냉각 중일 가능성이 큽니다.
7. 투자자가 봐야 할 ‘실거래-호가 간격지표’
📍“실거래가 대비 호가 상승률”은 시장 과열도를 판단하는 가장 빠른 지표입니다.
예시로 볼까요?
구분 | 2025.7월 | 2025.8월 | 2025.9월 |
실거래가(평균) | 7억 | 7억2천 | 7억3천 |
호가(평균) | 7억3천 | 7억7천 | 8억 |
호가-실거래가 격차 | +4.3% | +6.9% | +9.6% |
10%를 넘으면 ‘거래 부진 속 고평가 구간’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👉 등기부등본 완전 정복!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항목별 보는 법
[부동산] 등기부등본 완전 정복!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항목별 보는 법
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🫡집을 구하든, 전세를 살든, 부동산과 관련된 계약을 하게 되면가장 먼저 꼭 확인해야 할 서류가 있습니다. 바로 등기부등본입니다. "근저당이 뭐야?" "을구가 뭐야?" "
joinwithjosh.com
👉 아파트 평면도 보는 법 – 초보자가 놓치기 쉬운 구조 체크포인트 5가지
[부동산] 아파트 평면도 보는 법 - 초보자가 놓치기 쉬운 구조 체크포인트!
아파트 평면도 보는 법!구조별 체크포인트 알아보기! 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청약을 준비하거나 모델하우스를 방문해보신분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하셨을 거예요.“이 아파트 평면도… 좋은
joinwithjosh.com
👉 아파트 평면도 심화편 - 구조별 장단점과 투자 포인트
[부동산] 아파트 평면도 심화편 – 구조별 장단점과 투자 포인트
아파트 평면도 보는 법!구조별 장단점 체크! 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지난번에는 아파트 평면도 기본 보는 법을 함께 살펴봤었죠.이번엔 한 단계 더 들어가, ‘구조별 장단점과 투자 가치’라
joinwithjosh.com
‘실거래가 vs 호가’의 차이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닙니다.
‘과거의 기록 vs 현재의 심리*를 구분하는 안목이죠.
뉴스에서 “서울 아파트 호가 상승세”라는 문장을 볼 때,
그 말 뒤에 숨은 함정을 읽을 줄 아는 것이 진짜 부동산 감각입니다.
실거래가를 ‘기준점’으로 두고,
호가를 ‘시장 심리의 방향계’로 보는 습관을 들이세요.
이 두 데이터를 함께 보면 투자 타이밍과 실수요 진입 시점을 훨씬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! 😊👊
'부동산 알아보기 > [부동산] ② 내 집 마련 & 청약 정보 & 부동산 기초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부동산] 아파트 평면도 심화편 – 구조별 장단점과 투자 포인트 (0) | 2025.10.12 |
---|---|
[부동산] 청약 경쟁률 보는 법 - 고수들이 주목하는 체크포인트 (0) | 2025.10.09 |
[부동산] 서울 vs 수도권, 2025년 하반기 집값 흐름 비교 – 어디가 더 강할까? (0) | 2025.10.07 |
[부동산] 재건축·재개발 기본 가이드 – 투자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절차 (0) | 2025.10.03 |
[부동산] 부부 공동명의 집, 절세에 유리할까? 불리할까? (1) | 2025.10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