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부동산 알아보기/[부동산] ② 내 집 마련 & 청약 정보 & 부동산 기초 가이드

[부동산] 전월세 신고제, 제대로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

by JOSH.CHO 2025. 9. 25.
반응형

전월세 신고제!

안하면 생기는 불이익?!

 

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
전세나 월세 계약을 할 때 ‘전입신고’는 들어봤어도

전월세 신고제는 생소하신 분들이 많아요.

 

사실 이 제도는 2021년부터 시행된 이후 모든 임대차 계약에 의무화되었고,

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
오늘은 전월세 신고제가 무엇인지, 신고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생기는지,

그리고 세입자와 집주인이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.


1. 전월세 신고제란?

 

📍전월세 신고제는 임대차 계약 내용을 행정기관에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한 제도입니다.
대상은 보증금 6,000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하는 주택 임대차 계약이에요.

 

✔️ 신고 주체: 집주인(임대인)과 세입자(임차인) 모두 신고 가능

✔️ 신고 기한: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

✔️ 신고 장소: 주민센터 또는 온라인 ‘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’

 

👉 간단히 말하면, 정부가 전월세 거래 현황을 파악해 시장 투명성을 높이고, 세입자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예요.

전월세 신고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입니다.

 


2. 신고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불이익

 

📍“설마 안 하면 걸리겠어?”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지만,

실제로는 여러 가지 불이익이 뒤따릅니다.

1) 과태료 부과

✔️ 미신고 또는 거짓 신고 시 최대 100만 원 과태료

✔️ 단순 실수는 시정명령 후 면제되기도 하지만, 고의적인 누락은 처벌 대상

2) 세입자 권리 약화

✔️ 확정일자와 연계돼 보증금 보호가 어려워질 수 있음

✔️ 집주인과의 분쟁에서 불리하게 작용

3) 전입신고만으로는 부족

✔️ “전입신고 했으니 안전하다”는 생각은 위험!

✔️ 전월세 신고가 누락되면 임대차 정보가 시스템에 반영되지 않아 분쟁 시 증거력 약화

4) 집주인 불이익

✔️ 세금 탈루로 의심받을 수 있음

✔️ 임대차 거래 투명성 확보 정책에 따라 국세청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

제대로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.


3. 전월세 신고제, 이렇게 하면 된다

 

📍사실 신고 절차는 복잡하지 않아요. 오히려 빠르게 처리하면 마음이 편해집니다.

 

✔️ 계약서 준비: 집주인과 세입자가 서명·날인한 계약서 원본

✔️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

→ 정부24, 국토교통부 ‘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’ 이용 가능

✔️ 신고 항목 입력

→ 임대인·임차인 인적 사항

→ 임대 목적물 주소

→ 계약기간, 보증금, 월세 등 거래 조건

✔️ 확정일자 자동 부여

→ 전월세 신고 시 자동으로 확정일자가 부여돼 보증금 보호 효과

 

👉 즉, 전월세 신고는 단순히 ‘의무’가 아니라, 세입자 권리 보호와 집주인 투명 거래의 핵심 장치입니다.


4. 실제 사례로 보는 불이익

 

✅ 사례 1: 세입자 A씨
전세 계약 후 전입신고만 하고 전월세 신고를 하지 않았음.

이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소송했지만, 계약 정보가 시스템에 등록되지 않아 불리하게 작용.

 

사례 2: 집주인 B씨
세입자와 월세 계약 체결 후 신고 누락. 몇 달 뒤 세무조사에서 임대소득 누락으로 적발 → 가산세 부과.

 

👉 작은 번거로움을 피하려다 큰 피해로 이어진 전형적인 사례예요.


5. Q&A 코너

 

Q1. 보증금 5,000만 원, 월세 40만 원 계약은 신고 대상일까요?
→ 네. 보증금 6,000만 원 이하라도 월세 30만 원을 초과하면 신고 대상입니다.

Q2. 계약 갱신도 신고해야 하나요?
→ 네. 보증금이나 월세가 변동되면 갱신 계약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Q3. 신고 후 계약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?
→ 해지 사실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합니다.


6. 전월세 신고제가 주는 긍정적 효과

 

세입자: 확정일자 자동 부여 → 보증금 안전 강화

집주인: 임대차 관계 명확 → 분쟁 예방

정부: 시장 투명성 확보 → 통계 기반 정책 수립

 

👉 결국 모두가 이득을 보는 구조입니다.

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
👉 확정일자란? 세입자를 지켜주는 진짜 의미로 효력!

 

[부동산] 확정일자란? 세입자를 지켜주는 진짜 의미와 효력!

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🤗전세 계약을 할 때 꼭 듣게 되는 말,"전입신고랑 확정일자 꼭 받으셔야 해요!" 하지만,,,정작 '확정일자'가 뭐고, 왜 중요한지, 어디서 받는지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

joinwithjosh.com

👉 전세,월세,반전세 차이 한눈에 정리 - 사회초년생을 위한 기초 가이드

 

[부동산] 전세•월세•반전세 차이 한눈에 정리 - 사회초년생을 위한 기초 가이드

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 오늘은 사회초년생이나 자취를 준비하시는 분들,혹은 전월세 계약이 처음인 분들을 위한 기본 중의 기본!전세•월세•반전세 차이에 대해 쉽고 깔끔하게 정리해드

joinwithjosh.com

👉 전세 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체크리스트!

 

[부동산] 전세 계약 전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체크리스트!

전세 사기, 아직도 남의 일 아니에요! 안녕하세요, Josh입니다! 😊요즘 전세 계약 맺기 전에 한 번쯤은 꼭 드는 생각..."이 집, 진짜 괜찮은 건가?""혹시 전세 사기 아니겠지?" 불안한 마음, 당연합

joinwithjosh.com

 

전월세 신고제는 단순히 과태료 때문에 해야 하는 귀찮은 절차가 아닙니다.

세입자의 권리를 지키고, 집주인도 불필요한 분쟁을 피할 수 있는 안전장치예요.

 

혹시 여러분은 전월세 계약할 때 신고를 꼼꼼히 챙기고 계신가요?

댓글로 경험이나 궁금증을 나눠주시면 다른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거예요! 💚😊

반응형